아이티랩 - IT 뉴스
스페이스X, ‘재활용 로켓’ 우주 발사 첫 성공 스페이스X, ‘재활용 로켓’ 우주 발사 첫 성공
IT일반  스페이스X가 3월30일(현지시간) 항공우주산업의 역사를 새로 썼다. 사상 처음으로 ‘재활용 로켓’을 우주로 쏘아 올린 것이다.스페이스X는 이날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의..
Bloter.net
"눈 앞에 펼쳐지는 우주 공간" VR 활용한 우주 체험 실험 활발
IT일반  실제로 우주에 나가 볼 기회를 가졌던 사람은 전체 인류를 통틀어 매우 소수였고, 그랬기 때문에 우주 공간은 우리에게 더욱 매혹적이면서도 두려움을 불러 일으키는 곳이었다. 한편, VR의 가능성은..
ITWorld Korea
우주에서 본 폭발하는 에트나 화산 우주에서 본 폭발하는 에트나 화산
IT일반  [지디넷코리아] 국제우주정거장에 있는 우주 비행사가 붉은 용암이 분출하는 이탈리아 에트나 화산의 모습을 포착했다.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2일(현지시간) 유럽우주국(ESA)의 우주비행사 토마스..
ZDNet Korea
피키캐스트, 1020 세대 위한 대선 특집페이지 오픈 피키캐스트, 1020 세대 위한 대선 특집페이지 오픈
IT일반  피키캐스트가 대선 특집 페이지를 개설했다. 피키캐스트는 3월21일 우리가 주인인 나라를 위한 ‘우주인’ 페이지를 개설하고 19대 대선 관련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인다고 밝혔다.사..
Bloter.net
나사, 항공·환경 관련 SW 소스코드 15종 무료 공개 나사, 항공·환경 관련 SW 소스코드 15종 무료 공개
IT일반  미국항공우주국(NASA, 나사)이 최근 개발한 소프트웨어 소스코드를 무료로 공개했다. 나사는 3월2일(현지시간) 소프트웨어 카탈로그 2017-2018 버전을 공개했다.나사는 오픈소스 협약(NOSA)..
Bloter.net
스노우, 라인의 카메라 서비스 삼킨다 스노우, 라인의 카메라 서비스 삼킨다
IT일반  네이버가 라인플러스의 카메라 서비스를 스노우 쪽으로 합친다. 스노우주식회사와 라인플러스주식회사는 2월24일, 전세계 1억3천만 다운로드를 돌파한 ‘스노우’ 앱과 최근 3억 다운..
Bloter.net
애플, 4월엔 우주선 닮은 사옥으로 옮긴다 애플, 4월엔 우주선 닮은 사옥으로 옮긴다
IT일반  [지디넷코리아] “우주선이 착륙했다.”우주선 모양을 닮아 주목을 받은 애플의 신사옥이 4월에 열린다.22일(현지시간) 미국 IT 전문 매체 씨넷 등 외신은 애플은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니노에 짓고신사..
ZDNet Korea
IDG 블로그 | 휴대폰이 버벅대는 것은 '우주의 기운 탓' IDG 블로그 | 휴대폰이 버벅대는 것은 '우주의 기운 탓'
IT일반  앞으로 컴퓨터가 먹통이 되거나 휴대폰이 버벅거릴 때 무조건 제조업체만 탓해서는 안될 것 같다. 우주선(cosmic rays, 우주에서 지구로 쏟아지는 높은 에너지의 미립자와 복사선)이 원인일 수 있..
ITWorld Korea
일런 머스크의 스페이스X, 무인우주선 발사 성공 일런 머스크의 스페이스X, 무인우주선 발사 성공
IT일반  [지디넷코리아] 태슬라를 통해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일런 머스크가 또 다른 실험에 성공했다. 직접 운영하는 회사 스페이스X가 19일(현지시간) 무인우주선 드래곤을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스페이..
ZDNet Korea
우주 RTS 게임 '인터플래닛', 5개국 선출시 우주 RTS 게임 '인터플래닛', 5개국 선출시
IT일반  [지디넷코리아] 네시삼십삼분의 모바일 게임 신작 '인터플래닛'이 정식 출시를 앞두고 해외 일부 국가에 선출시됐다.19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네시삼십삼분(대표 장원상, 박영호)은 썸에이지(대표 백승훈..
ZDNet Korea
우주에서 찍은 '하트모양' 호수사진 화제 우주에서 찍은 '하트모양' 호수사진 화제
IT일반  [지디넷코리아] 국제 우주정거장에 있는 우주비행사가 밸럴타인데이를 맞아 '사랑의 표식'인 하트 모양 호수 사진을 촬영해 공개했다.IT매체 씨넷은 국제우주정거장에 머물고 있는 유럽우주기구(ESA) 소..
ZDNet Korea
"중국 IT-우주산업, 10년새 무섭게 변했다"
IT일반  [지디넷코리아] 그 동안 중국 제품들은 '짝퉁'이나 무단복제 이미지가 강했다. 싼 노동력을 무기로 한 보급형 제품의 천국이란 이미지도 강했다.하지만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지난 10년 동안 자국산 제품..
ZDNet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