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랩 - IT 뉴스
뉴로모픽 소자 레고처럼 쌓아 인공신경망 하드웨어 구현 뉴로모픽 소자 레고처럼 쌓아 인공신경망 하드웨어 구현
IT일반  [지디넷코리아]뇌와 시냅스 구조를 모방한 뉴로모픽 소자를 레고 블록처럼 쌓아올려 시스템 수준에서 검증하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원장 윤석진)은 인공뇌융합연..
ZDNet Korea
RFHIC, 국내 최초 4인치 다이아몬드 웨이퍼 개발 성공 RFHIC, 국내 최초 4인치 다이아몬드 웨이퍼 개발 성공
IT일반  [지디넷코리아]화합물 반도체 전문기업 RFHIC는 고출력 GaN(질화갈륨) RF 반도체 및 전력반도체의 소재로 적용 가능한 ‘4인치 다이아몬드 웨이퍼’ 개발을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ZDNet Korea
인공지능용 반도체 국제표준 개발, 우리나라가 주도 인공지능용 반도체 국제표준 개발, 우리나라가 주도
IT일반  [지디넷코리아]우리나라가 제안한 인공지능(AI)용 반도체인 뉴로모픽 소자(Neuromorphic Device) 국제표준 개발이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본격화 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
ZDNet Korea
포스텍, 실리콘 기반 친환경 열전 반도체 소재 개발 포스텍, 실리콘 기반 친환경 열전 반도체 소재 개발
IT일반  [지디넷코리아]열과 전기를 상호변환하는 열전기술은 폐열 등 버려지는 에너지를 전기로 바꾸는 에너지 하베스팅의 기반 기술 중 하나다. 포스텍 연구진이 독성이 강하고 희소한 금속 대신 친환경 물질인 ..
ZDNet Korea
체온으로 전기 만드는 열전소자, 메타물질로 신축성 높인다 체온으로 전기 만드는 열전소자, 메타물질로 신축성 높인다
IT일반  [지디넷코리아]한국전기연구원(KERI)은 메타물질을 활용해 열전발전 소자의 신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힘을 가해 물질을 가로 방향으로 늘리면 세로 방향이 줄어든다. ..
ZDNet Korea
ST, 보안 소자 내장된 차세대 NFC 컨트롤러 출시 ST, 보안 소자 내장된 차세대 NFC 컨트롤러 출시
IT일반  [지디넷코리아]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는 NFC 컨트롤러와 보안 소자 IC를 결합한 ST54L을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ST54L은 스마트폰, 스마트 웨어러블,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ZDNet Korea
전기연, 우주탐사선 동력원 원자력전지 성능 높였다 전기연, 우주탐사선 동력원 원자력전지 성능 높였다
IT일반  [지디넷코리아]한국전기연구원(KERI)은 우주 탐사선의 핵심 부품인 원자력전지 성능을 높일 '신 열전효율 공식 및 고효율 적층형 열전발전소자'를 개발, 독일항공우주연구원의 검증을 ..
ZDNet Korea
이차원 반도체 대면적 제조 기술 개발 이차원 반도체 대면적 제조 기술 개발
IT일반  [지디넷코리아]이차원 반도체를 대면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소재와 공정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조정호 연세대학교 교수와 강주훈 성균관대학교 교수 공동연구팀이 이온이 주입된 ..
ZDNet Korea
2024년부터 수소차충전소서 지게차·굴착기도 충전 가능해진다 2024년부터 수소차충전소서 지게차·굴착기도 충전 가능해진다
IT일반  [지디넷코리아]오는 2024년부터 수소자동차충전소에서 수소지게차, 수소굴착기, 수소선박도 충전이 가능해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창원 수소 모빌리티 통합 수소충전소(창원 대원 수소충전소) 실증현..
ZDNet Korea
2025년 성능 검증 위성 띄운다···국산 우주 부품소자 검증 테스트베드 2025년 성능 검증 위성 띄운다···국산 우주 부품소자 검증 테스트베드
IT일반  [지디넷코리아]국내 우주 기업이 개발한 부품을 실제 우주 환경에서 실험할 수 있는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이 개발된다. 극한 환경에 쓰이는 소자·부품 분야 경쟁력을 높인다는 목표다. 과학기술정보..
ZDNet Korea
손에 뿌려서 전자피부 회로 그린다...메타버스 활용 기대 손에 뿌려서 전자피부 회로 그린다...메타버스 활용 기대
IT일반  [지디넷코리아]피부에 전도성 액체를 분사해 손에 전자 회로를 인쇄하는 전자피부 제작법이 개발됐다. 메타버스나 원격 의료 등의 조작 수단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과학기술원(KAI..
ZDNet Korea
KIST, 뇌 더 잘 모방하는 시냅스 반도체 소자 기술 개발 KIST, 뇌 더 잘 모방하는 시냅스 반도체 소자 기술 개발
IT일반  [지디넷코리아]뉴로모픽 컴퓨팅에 쓰이는 시냅스 소자의 특성을 대폭 개선하는 기술이 나왔다. 중요도에 따라 연결 강도를 유연하게 조절하는 뇌 시냅스의 특성을 보다 잘 모방할 수 있게 됐다. 한국과학기..
ZDNet Korea
KAIST, 액체금속 프린팅 활용도 확 높였다 KAIST, 액체금속 프린팅 활용도 확 높였다
IT일반  [지디넷코리아]KAIST(총장 이광형)는 안정적 형태의 액체금속을 고해상도로 인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신축성 있는 유연 전자소자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액체금속은 전기전도성이..
ZDNet Korea
밤에도 충전되는 태양광 패널 나왔다 밤에도 충전되는 태양광 패널 나왔다
IT일반  [지디넷코리아]미국 스탠퍼드대학 연구진이 밤에도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을 개발했다고 IT매체 씨넷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태양광 패널은 낮에는 일반 태양광 패널처럼 작동하지만..
ZDNet Korea
나노 소자 회로, 도장 찍듯 쉽고 싸게 만든다 나노 소자 회로, 도장 찍듯 쉽고 싸게 만든다
IT일반  [지디넷코리아]나노광소자 회로를 도장 찍듯 쉽고 싸게 새기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박상진)은 접착제를 쓰지 않아 저가로 나노광소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화학흡착 나노전사기반 제조..
ZDNet Korea
"사람 신경처럼" 감각 신호 처리하는 인공 뉴런 개발
IT일반  [지디넷코리아]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은 인공뇌융합연구단 이수연 박사팀이 저전력·고효율 인공감각 뉴런소자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인간 신경계를 모방한 인-센서(in-sensor..
ZDNet Korea
러-우크라 사태에도 반도체 가스 충분…국산화로 대응 러-우크라 사태에도 반도체 가스 충분…국산화로 대응
IT일반  [지디넷코리아]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에도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특수 가스를 조달하기 어렵지 않다고 국내 산업계는 보고 있다. 재고를 평소의 3~4배로 늘렸고 국산화로 대응한다. 반도체를 생산하려면 ..
ZDNet Korea
AI로 메타 표면 설계 최적화... AI로 메타 표면 설계 최적화..."차세대 광소자 개발 돌파구"
IT일반  [지디넷코리아]KAIST(총장 이광형)는 전기및전자공학부 장민석 교수 연구팀이 강화학습에 기반한 자유 구조의 메타 표면 구조 설계 방법을 제안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연구는 반도체 제조 솔루션 기..
ZDNet Korea
옷에 인쇄할 수 있는 신축성 리튬 배터리 개발 옷에 인쇄할 수 있는 신축성 리튬 배터리 개발
IT일반  [지디넷코리아]말랑말랑하게 변형되고 섬유 표면에 인쇄할 수 있는 리튬 배터리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어 웨어러블 기기나 몸 속에 삽입하는 의료 기기 등에 활용될 전망..
ZDNet Korea
서울바이오시스 서울바이오시스 "마이크로LED, 4분기째 매출 성장"
IT일반  [지디넷코리아]광반도체 소자 기업 서울바이오시스는 8일 연결 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매출액이 2020년보다 13.31% 늘어난 4천887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역대 가장 많은 실적이다. ..
ZDNet Korea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OLED 동참 환영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OLED 동참 환영
IT일반  [지디넷코리아]LG디스플레이가 삼성디스플레이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패널 사업을 환영했다. 오창호 LG디스플레이 대형사업부장(부사장)은 29일 서울 마곡동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기자간..
ZDNet Korea
SK하이닉스, 18~22일 ‘미래 기술’ 학술대회 SK하이닉스, 18~22일 ‘미래 기술’ 학술대회
IT일반  [지디넷코리아]SK하이닉스는 18일부터 22일까지 닷새 동안 기술 교류의 장 ‘제9회 SK하이닉스 학술대회’를 사내 온라인 채널 ‘하이튜브(hyTUBE)’에서 연다고 15일 밝혔다. 우수 논문 28..
ZDNet Korea
가스公, 김해에 첫 수소충전소 운영…명실상부 수소기업 도약 가스公, 김해에 첫 수소충전소 운영…명실상부 수소기업 도약
IT일반  [지디넷코리아]한국가스공사(대표 채희봉)는 경남 김해시 안동에 제조식 수소충전소(김해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7월부터 자체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수소충전소는 김해시 관내 1호로 가스공사 부산경..
ZDNet Korea
KAIST, 3차원 적층형 화합물 반도체 소자 제작 성공 KAIST, 3차원 적층형 화합물 반도체 소자 제작 성공
IT일반  [지디넷코리아]KAIST(총장 이광형)는 전기 및 전자공학부 김상현 교수 연구팀이 모놀리식 3차원 집적의 장점을 극대화해 기존 통신 소자의 단점을 해결한 화합물 반도체 소자 집적 기술을 개발했다고 ..
ZDNet Korea
초전도 나노소자로 양자 네트워크 구현한다 초전도 나노소자로 양자 네트워크 구현한다
IT일반  [지디넷코리아]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양자기술연구소 양자역학계팀이 니오븀(Niobium) 초전도 나노전기역학 소자를 개발하고 특성 검증에 성공했다. 나노 단위 소자에서 양자 네트워크를 구현할..
ZDNet Korea
GIST, 스마트워치 발열 해결 전자소자 개발 GIST, 스마트워치 발열 해결 전자소자 개발
IT일반  국내 연구진이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의 발열문제를 해결할 패치 타입의 웨어러블 헬스케어 전자 소자를 개발했다. 송영민 광주과학기술원(이하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외부 전원..
IT조선 : 전체기사
승용형 수소차 안전교육 폐지…복층 수소충전소 가능해진다 승용형 수소차 안전교육 폐지…복층 수소충전소 가능해진다
IT일반  [지디넷코리아]앞으로 넥쏘 등 승용형 수소자동차 운전자는 안전교육을 받지 않아도 된다. 고압수소 운반차량 안전검사 기준은 강화된다. 또 복층형 수소충전소 설치가 가능해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수소차와..
ZDNet Korea
KETI, 씨엔원과 차세대 전자소자 핵심공정 기술개발 협력 KETI, 씨엔원과 차세대 전자소자 핵심공정 기술개발 협력
IT일반  [지디넷코리아]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원장 김영삼)은 씨엔원(대표 정재학)과 ‘ALD 기반 차세대 전자소자 핵심 공정 기술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ALD(Atomic L..
ZDNet Korea
수소충전소, 체육·문화시설·시장에도 들어선다 수소충전소, 체육·문화시설·시장에도 들어선다
IT일반  [지디넷코리아]앞으로 체육·문화시설·시장 등 이용인구가 많은 시설에도 수소충전소를 지을 수 있게 된다. 비대면 경제 확산에 따라 공공청사 등에 택배 집·배송 시설 설치가 허용된다. 또 보행자우선도로..
ZDNet Korea
'도로상황 변화 즉각 감지' 車 장치용 광학소자 상용화 '도로상황 변화 즉각 감지' 車 장치용 광학소자 상용화
IT일반  광학소자 전문기업 와이앤지가 ToF(Time of Flight, 비행시간 측정) 방식 자동차 3D 감지 장치용 광학소자를 개발해 상용화 했다고 15일 밝혔다.ToF 방식 자동차용 3D 감지장치는 운..
IT조선 : 전체기사
70년 난제 풀었다…KAIST, '반도체 소자 구동원리' 원자 수준 규명 70년 난제 풀었다…KAIST, '반도체 소자 구동원리' 원자 수준 규명
IT일반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 소자 구동원리를 원자 수준에서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성과로 다양한 첨단 반도체 소자 분석 및 차세대 나노 소자 개발을 위한 이론적 틀이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KAI..
IT조선 : 전체기사
KIST, 신축성 투명전극 '대형화' 성공…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폰 구현 기대 KIST, 신축성 투명전극 '대형화' 성공…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폰 구현
IT일반  국내 연구진이 휘어지면서 늘어나는 투명전극을 A4용지 크기로 대형화하는 데 성공했다. 신축성이 있는 투명 전극을 대면적으로 제작하게 되면, 스트레처블 폰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기기를 만들 수 있다...
IT조선 : 전체기사
ETRI, 올해도 유연한 전자 소자 시제품 제작 지원 사업 진행 ETRI, 올해도 유연한 전자 소자 시제품 제작 지원 사업 진행
IT일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일괄공정 플랫폼’ 구축·제공을 통해 대학과 기업 등에 유연한 전자소자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사업을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제공한다고 18일 밝혔다.유연한 전자소자는..
IT조선 : 전체기사
ETRI, 유연 전자소자 시제품 제작 서비스 선봬 ETRI, 유연 전자소자 시제품 제작 서비스 선봬
IT일반  [지디넷코리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유연 전자소자 개발을 위한 시제품 제작 서비스를 올해 본격적으로 확대한다.18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해 국내 최초로 선보인 유연 전자소자 시제품 제..
ZDNet Korea
서울대 연구진, 빛으로 작동하는 인공지능 소자 개발 서울대 연구진, 빛으로 작동하는 인공지능 소자 개발
IT일반  [지디넷코리아]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 구현을 위한 뉴로모픽 광(光) 뉴런 소자 설계에 성공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대 박남규 교수, 유선규 박사, 박현희 박사 연구팀은 고속 연산 인공지능 구현..
ZDNet Korea
KAIST, 미래형 정보소자 위한 반도체 내 '양자 소용돌이' 제어 기술 개발 KAIST, 미래형 정보소자 위한 반도체 내 '양자 소용돌이' 제어 기술
IT일반  한국과학기술원(KAIST)는 조용훈·최현순 교수(물리학과) 공동 연구팀이 반도체 공진기 구조에서 ‘엑시톤-플라리톤 응축'이라는 양자물질 상태를 형성해 새로운 광학적 방식으로 양자 소용돌이를 생성하고..
미디어잇
생물 감각·신경 모사한 신축성 '인공신경' 개발 생물 감각·신경 모사한 신축성 '인공신경' 개발
IT일반  [지디넷코리아] 서울대 공대는 이태우 재료공학부 교수가 스탠포드 대학 제난 바오 교수와 공동 연구로 생물의 감각과 운동 신경을 모사하는 신축성 인공 신경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생물체의 독특한 ..
ZDNet Korea
인체에 오래 붙는 고탄성·고접착성 전자소자 개발 인체에 오래 붙는 고탄성·고접착성 전자소자 개발
IT일반  [지디넷코리아] 높은 접착성과 탄성으로 장기간 신체에 붙일 수 있는 전자소자가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6일 전기·전자공학부 이현주 교수 연구팀이 생체 친화적 실크 고분자를 이용해 생..
ZDNet Korea
인간 뇌기능 모방한 인공 시냅스 소자 개발 인간 뇌기능 모방한 인공 시냅스 소자 개발
IT일반  [지디넷코리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지능형소자융합연구실 이명재 실장 연구팀이 인간의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신경세포 뉴런과 시냅스의 기능을 모사한 인공 시냅스 소자를 개발했다고 27일 ..
ZDNet Korea
네이버, 빅데이터로 소자본 창업성장 돕는 ‘D-커머스’ 네이버, 빅데이터로 소자본 창업성장 돕는 ‘D-커머스’
벤처/스타트업  네이버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설계한 스몰비즈니스 창업 성장 프로그램인 D-커머스(Data commerce)를 공개한다. D-커머스는 매출 일변도가 아닌 사업자 기량을 비즈니스 강점으로 발휘할 수 있..
벤처스퀘어
포도당으로 차세대 메모리 소자 제작 성공 포도당으로 차세대 메모리 소자 제작 성공
IT일반  [지디넷코리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김현재 연세대 교수 연구팀이 과일 등을 통해 흔히 섭취하는 포도당 물질을 활용, 저항 스위칭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저항 스위칭 메모리는 현..
ZDNet Korea
'스커미온' 전자소자 구현 원리 찾았다 '스커미온' 전자소자 구현 원리 찾았다
IT일반  [지디넷코리아] 소용돌이 모양의 스핀 구조체 '스커미온' 기반 메모리, 전자소자 개발이 빨라질 전망이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우성훈 스핀융합연구단 박사팀은 전기적인 방법으로 개개의 스커미온..
ZDNet Korea
IBS 연구팀, 빛의 속도 조절하는 소자 개발 IBS 연구팀, 빛의 속도 조절하는 소자 개발
IT일반  [지디넷코리아] 정보 전달이 가장 빠른 매개 물질은 빛이지만, 실제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빛을 전기신호로 전환하는 과정이 동반돼야 한다.이 때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소자의 한계와 발열 문제 때문..
ZDNet Korea
삼성電-이대, OLED 청색 소자 수명저하 이유 증명 삼성電-이대, OLED 청색 소자 수명저하 이유 증명
IT일반  [지디넷코리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연구진과 이화여대 화학신소재공학부 유영민 교수 연구팀은 25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블루 인광 소재의 수명 저하를 가져오는 열화 메커니즘을 최초로 증명하고,..
ZDNet Korea
삼성전자  크리에이티브 스퀘어, 소자본창업을 위하여! 삼성전자 크리에이티브 스퀘어, 소자본창업을 위하여!
제품/디바이스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보유하고 있지만, 재정이나 인프라 등을 갖추질 못해 망설이는 전도 유망한 스타트업을 자주 보곤 합니다. 지원만 확실하면 우리나라를 대표하여 세계 브랜드와 좋은 경쟁 제품을 만들 ..
와포TV
LG전자, 최대 8병 보관 ‘와인셀러 미니’ 첫 선 LG전자, 최대 8병 보관 ‘와인셀러 미니’ 첫 선
기술/뉴테크  LG전자는 최대 8병까지 보관할 수 있는 ‘LG 와인셀러 미니’를 17일부터 공식으로 판매에 나선다고 밝혔다. 가정에서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와인셀러 미니’ 2종(모델명: W087B, W08..
테크홀릭
삼성전자, 차세대 메모리 소자 등 미래기술육성 지원 40건 선정 삼성전자, 차세대 메모리 소자 등 미래기술육성 지원 40건 선정
기술/뉴테크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지원과제 40개를 미래기술육성사업으로 선정하고 연구비를 출연해 지원한다고 6일 밝혔다.. 40개 지원과제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에서 지원하는 기초과학 분야에서 18개, 삼성전자..
테크홀릭
자가 선택학습 AI 시냅스 소자 개발 자가 선택학습 AI 시냅스 소자 개발
IT일반  [지디넷코리아] 한국연구재단은 인간의 뇌처럼 스스로 선택해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시냅스 소자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박배호 건국대 교수 연구팀은 강유전체 분극 전환과 금속 이온 이동을..
ZDNet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