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랩 - 튀르키예 강진,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도 바꿨다

[지디넷코리아]

튀르키예에서 발생한 지진이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에도 영향을 미쳤다. 튀르키예 강진은 우리나라에서 7천400㎞ 떨어진 곳에서 일어났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원장 이평구)은 지난 6일(현지시간) 발생한 튀르키예 강진의 본진(규모 7.8)과 여진(규모 7.5) 이후 문경과 강릉에 있는 국내 지하수 관측정 두 곳에서 지하수 수위의 변화를 감지했다고 14일 밝혔다.

문경 관측정에서는 본진 이후 지하수 수위가 7㎝ 상승했다가 여진 후 3㎝ 하강했다. 강릉 관측정에서는 본진 후 3㎝의 수위 상승을 탐지했다.

문경 강릉 관측정 수위 분석 자료 (자료=KIGAM)

지진이 일어나면 지진파에 의해 지하수가 있는 대수층 주변의 암석들에 압력이 가해지고 대수층에 압축과 팽창이 발생해 지하수 수위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오실레이션(oscillation) 현상이 일어난다.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면 지하수의 급격한 유동으로 유출과 유입이 불규칙적으로 일어나 지하수가 풍부한 대수층이나 방사성폐기물 부지, 오염 지역 등 지중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KIGAM 이수형 박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규모 7.5 이상의 지진이 7천㎞ 이상 떨어진 국내 지하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그동안 연구팀은 2010년 인도네시아 강진(규모 7.7), 2011년 동일본 대지진(규모 9.0), 2015년 네팔 강진(규모 7.8)은 물론 2021년 9천300㎞ 떨어진 뉴질랜드에서 일어난 강진(규모 7.8) 당시에도 지하수 수위 변화를 관측, 연구해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바 있다.

이수형 박사는 "이번 관측 연구를 통해 강진이 발생하면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지각의 흔들림뿐만 아니라 지하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라며 "지진과 연계한 지하수 관측과 분석 연구를 꾸준히 수행해 지하수 보존과 활용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의견 0 신규등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