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영역 '팩트 체커', 집단 지성이 대신한다

전문가 영역 '팩트 체커', 집단 지성이 대신한다

Fact Checker라는 단어를 아시나요? 생소하지는 않을 겁니다. 중앙일보가 지난해 국내 최초로 분야별 전문가 20명을 모셔와 팩트 체커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발표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언론사의 생명인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꼼꼼하세 사실을 확인하고 검증하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해외 유력 언론에선 오래 전부터 이 제도를 운영하고 있죠.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팩트 체커를 운영하고 있는 언론사를 들자면 독일의 슈피겔을 들 수가 있죠. 무려 80명이 풀타임으로 팩트 체커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슈피겔은 1947년께부터 이 시스템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뉴욕커는 16명으로 구성돼있고, 뉴욕타임스 매거진은 이보다 적은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세계 유력지의 상징과도 같은 직무입니다.

통상 정치 기사는 타사 보도 참조 등 크로스체크를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과학 분야는 인용된 논문를 직접 읽어보고 그릇된 사실이 없나 검증을 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최종 기사가 탄생을 하게 됩니다.

팩트 체커는 여태까지 전문가의 영역이었죠. 특정 분야의 전문가들, 혹은 전문 에디터들이 이 직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계가 있습니다. 언론이 다루는 기사의 분야가 다양해질수록 팩트 체커가 늘어나야 하는데, 이는 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뉴스트러스트, 크라우드소스형 '팩트 체킹' 실험

이런 가운데 팩트 체킹 시스템을 독자들에게 맡기는 실험이 진행되고 있어 주목을 끕니다. Newstrust가 주인공입니다. 미디어 벤처 기업인 Newstrust가 포인터 연구소와 공동으로 크라우드소싱 방식의 팩트 체킹 시스템을 지난 2일부터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죠.

이 시스템은 내부 편집진이 연구가 필요한 일부 인용문를 제시하고 독자들로 하여금 사실인지 아닌지를 확인해줄 것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독자는 이 인용문에 대해 사실, 거짓 의사 피력을 할 수 았고 댓글도 달 수 있습니다. 또한 뉴스트러스트 측은 블로그를 통해 확인된 정보를 함께 공유하기도 합니다.

왼쪽 그림을 보시면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newstrust는 하루에 한 건 정도 인용 문구에 대한 검증을 독자들에게 요청합니다. 통계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어뷰징 방지를 위한 것이겠죠. 집계된 내용은 newstrust의 블로그에 공개됩니다. FactCheck.org이 조언그룹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Newstrust는 Good Journalism을 표방하며 2006년에 설립된 소셜 뉴스 사이트입니다. newstrust는 Digg, Reddit의 Voting 알고리즘 방식이 저널리즘의 질을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라며 '질적 평가' 중심으로 한 알고리즘을 도입해 화제를 불러모았습니다. 또 저널리즘의 질을 담보하기 위해 등록절차도 까다롭게 구성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창업자 인터뷰도 함께 소개하겠습니다.

"우리가 시도하려는 것은 품질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우리는 독자로서 여러분들을 도우려고 하며, 충동적 본능(gut instinct)을 극복하려 하고 있다. 우리는 자신의 메리를 지닌 스토리를 잘 볼 수 있도록 진실로 돕고 싶다.

NewsTrust는 여러분이 충동적 반응에서 벗어나도록 돕고 있다. 나는 여러분들이 부시 정책에 동의하는지 동의하지 않는지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다. 단지 우리는 올바른 저널리즘이냐 아니냐 아는 것에 관심이 있을 뿐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은 그 방법론을 찾는 것이다. "

이런 취지에도 불구하고 Newstrust는 성공적인 사이트로 자리매김하지는 못했습니다. 2009년 150만 UV를 기록했습니다. 월 평균 PV는 42만, UV는 13만명 수준입니다. 성공적인 사이트라고 보기엔 초래한 성적표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비영리 뉴스 사이트라는 점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성공 관건은 더 많은 시민 참여

이러한 상황에서 Newstrust는 다시 실험에 착수한 것입니다. 온라인에서 종종 유통되는 잘못된 정보를 '집단 지성'을 활용해 교정하고 수정하는 시도에 나선 것입니다. 전문가의 영역이었던 Fact Checker가 다중에게 개방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성과를 장담하기는 힘듭니다. 그러나 기대는 하게 됩니다. 인터넷에 존재하는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검증의 눈' 역할을 하게 된다면 10여명의 Fact Checker 조직보다 더 강력한
사실 확인이 이뤄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관건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이냐에 달렸습니다. 이를 위해 Newstrust는 사용자를 더 많이 끌어모아야 할 것입니다. 집단 지성이 Fact Checker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는 도전적 실험을 성공적으로 완수해야 할 책임감이 그들에게 부여됐습니다.

저는 시민의 참여에 의한 사실 검증 실험으로 의미를 부여해볼 생각입니다. 그들의 성공을 기원하며 실험을 적극 지지합니다.

의견 0 신규등록      목록